닫기

[기자의눈] 수요는 없는데 공급만 늘어나는 공공 예식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3.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701010000655

글자크기

닫기

한제윤 기자

승인 : 2024. 07. 01. 17:27

300806_202229_810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공공 예식장 예시. /서울시
정부가 청년층 결혼비용 부담 완화 등을 위해 예식 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국·공유시설 48곳을 추가 개방했다. 이로써 전국 기준 기존 91곳에서 139곳의 공공 예식장이 생겼으며, 정부는 2027년 말까지 200개소 이상 개방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결혼을 앞둔 이들이 예식 공간을 고르는 기준은 수용인원, 식·음료값 포함 비용, 접근성, 로망 실현 등 다양하다. 그 중 가장 큰 부담은 아무래도 결혼 준비에 들어가는 비용일 것이다. 이에 정부는 결혼식 비용 부담이라도 덜어주기 위해 공공 예식장을 제공하기로 했다. 정부가 파악한 결혼품목별 소요비용에 따르면 주택에 2800만원, 혼수 1600만원, 예식홀 1100만원, 예단 800만원이 필요하다. 해당 자료를 기반으로 정부가 제공한 공공 예식장은 대부분 대관료가 무료이거나, 100만원 이하 수준을 보인다.

그러나 대관료 무료는 '결혼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한 항목으로 그렇게까지 매력적이진 않다. 공공 예식장도 대관료만 저렴할 뿐 다른 일반 예식장과 최종 소요 비용은 크게 다르지 않을 뿐더러 일반 예식장에서는 원스톱으로 끝낼 부분들까지 공공 예식장을 이용하면 일일이 발품 팔아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식사를 제공하지 않거나 도시락·케이터링을 이용해야 하는 제약도 크다.

이런 이유로 그나마 인기 있는 서울의 야외 예식 공간인 용산가족공원도 올해 하반기 예식분의 취소 잔여 일자가 연이어 발생해 서울시는 13쌍의 예비 부부를 추가 모집한다고 지난달 알린 바 있다.
정부는 이번에 신규 공간을 추가하면서 공공 예식장 이용 활성화를 위해 온라인 사이트에서 관련 내용을 한번에 검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나름대로 방안을 제시했지만 그에 대한 효과를 정부 측에서조차 얼마나 기대하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정부에서도 현재 공공 예식 관련한 수요가 그렇게까지 많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용 현황이나 만족도에 대한 자료도 현재 지자체 내에서 취합해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는 예약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 외에 세부적 파악은 앞으로 협의해야 할 부분이란 입장이다.

특히 젊은 층이 문화·복지회관, 강당 등의 공간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과 지자체에서 무작정 인기를 끌 만한 공간을 예식장으로 활용하게 되면 기존 예식 사업장과의 갈등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단순히 확장만 한다고 될 일이 아니라는 것도 인지하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계속해서 수요 없이 공공 예식 공간의 공급만 늘리고 있는 이런 형태에 의문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진짜 청년을 위한 서비스라면 지자체만 나서서 적극성을 챙긴다고 될 일이 아니다. 지자체에서 공공 예식장을 개방한다고 정부 지원금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라고 하는데, 이런 상황에 어떤 동기 부여로 적극성을 가질 수 있을지 정부가 먼저 갈피를 잡아줘야 할 필요가 있다.
한제윤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