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안전한 먹거리 확대…식약처 ‘푸드QR’ 힘 싣는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7010008778

글자크기

닫기

이세미 기자

승인 : 2025. 02. 17. 16:32

수입식품업체 대상 설명회
수입 먹거리 안전 관리 강화
전 식품으로 확대…업계 협조必
식품·외식업체들의 가격 인상 행렬<YONHAP NO-3871>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연합
올해부터 수입 먹거리에도 '푸드QR'이 도입되면서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는 21일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푸드QR 정책 방향에 관한 설명회를 개최한다.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푸드QR은 제품별 상품식별코드와 해당 식품의 표시사항, 회수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주소가 담긴 정보전달체계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QR코드를 스캔만 하면 회수 대상 제품인지 바로 알 수 있다. 이밖에 영양성분과 조리법 등도 표시된다.

이번 정책 방향 설명회는 수입식품업체를 대상으로 수입 먹거리에도 푸드QR을 적용하는 반향을 설명할 것으로 전해진다. 식약처는 지난해 국내 제조식품을 시작으로 올해 수입식품, 2026년 국내 농·축·수산물 등 모든 식품으로 점차 확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식약처가 푸드QR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이유는 소비자 안전은 물론 경제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푸드QR을 실시하면 국민이 식품 정보를 검색하는 시간이 기존 10분에서 5분으로 단축돼 연간 1413억원의 경제효과가 발생한다. 산업체는 식품표시 디지털 인프라 활용으로 9113억원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표시기준 또는 원재료 변경 등에 따른 포장지 교체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식약처는 산업체 포장지 교체 비용 효율화로 연간 2583억원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푸드QR이 의무상황이 아닌만큼 업체의 협조가 필요하다. 식약처 관계자는 "적용 의무화 등 제도적인 부분은 식품업계와 논의 중"이라며 "수입식품을 시작으로 국내외 전 식품에 푸드QR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가려 한다"고 말했다.
이세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