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민안전점검 당정협의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소추하기 전부터 '계엄은 내란이다'로 시작해 내란 몰이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헌재가 절차적으로 너무 서두르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어 "자기들의 편의에 따라 5000만 국민이 민주적 선거로 뽑은 대통령을 파면하고 그만두라고 하는 것은 국민들이 볼 때 국민 주권을 무시하는 것"이라며 "과연 헌재가 헌법을 지키려고 하는 것인지 이해가 안간다"고 말했다.
또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에 대해서는 "탄핵에 당연히 반대한다"며 "(앞으로) 탄핵이 되든 안 되는 분열된 국론을 어떻게 잘 수습하고 통합하느냐에 굉장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재판과 관련해선 "이게 몇년째인가"라며 "선거법이나 대장동 사건이나 진도가 안 나간다"고 지적했다.
최근 이명박 전 대통령을 만나는 등 정치적 행보를 하고 있다는 지적에는 "해석 나름"이라며 "정치로 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나 그 형님 이상득과 개인적으로 오랜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국민의힘 일각의 중도층 이탈 우려에 대해서는 "처음 듣는다. 그렇다면 당 지지도가 이렇게 높게 나올 수 없는 것 아니냐"라며 "중도층이 무엇이냐는 것에 대해선 해석이 필요한데 우리처럼 용어를 함부로 쓰고 상대방을 함부로 프레임으로 몰고가는 나라는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장관은 전날(20일) 여·야·정 대표의 국정협의회 '4자 회담'에서 야당이 반도체특별법의 '주52시간 근로 특례'를 반대한 것과 관련해서는 "우리나라 산업의 초격차 유지, 주력 산업의 발전을 이야기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