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최상목 “유휴·저활용 국유재산, 청년창업지원 시설 확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17010008757

글자크기

닫기

세종 이정연 기자

승인 : 2025. 03. 17. 17:55

주거일체형 창업공간 등 수요 적극 반영
청년우선대부 및 사용료 인하 등 제도개선도
최상목 권한대행, 청년창업허브 방문<YONHAP NO-3547>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서울 강남구 국유지 활용 1호 '나라키움 역삼청년창업허브'를 방문해 공유오피스형 창업공간을 둘러보며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유휴·저활용 국유재산을 활용해 각 지역의 전략산업과 연계된 청년창업지원 시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17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나라키움 역삼청년창업허브를 찾아 운영현황을 점검하고 "주거일체형 창업공간 등 청년 창업인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역삼청년창업허브는 세종시로 이전한 한국정책방송원(KTV)의 기존 사옥을 철거하고 신축한 시설로, 국유재산을 청년창업공간으로 조성한 첫 사례다. 정부는 유휴·저활용 국유재산을 리모델링하는 방식으로 전국 곳곳에 청년창업시설을 조성하고 있다.

역삼청년창업허브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서울시), 공공기관(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국제협력단), 민간기업(스파크플러스)이 협업하여 시세보다 저렴하게 창업공간을 임대하고, 사업개발비 지원, 투자자 매칭, 전문가 컨설팅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IT, 교육,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44개 벤처 기업이 입주해 456명의 청년들과 함께 활발히 활동중이다.

최 대행은 간담회에서 "역삼청년창업허브는 정부와 지자체, 공공·민간기관의 역량 및 자원이 결집한 사례"라며 "상가·농지 등 유휴 국유재산을 청년세대가 창업 등 경제활동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청년우선대부, 사용료 인하 등 청년세대의 국유재산 사용을 활성화하는 제도개선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2021년 유휴·저활용 국유재산을 리모델링해 부산에 청년창업시설을 추가로 조성한 바 있다. 대전에도 준공을 마치고 개원을 준비중이다. 또한 영등포세무서(2025~2030년), 수원세무서(2024~2029년), 천안세관(2024~2029년), 대구 수성세무서(2025~2030년) 부지를 공공청사와 청년창업시설로 복합개발하는 사업도 추진중이다.

아울러 청년창업사관학교(18개소), 청년전용 창업자금(3000억원), 청년창업펀드(667억원 조성목표) 등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자금 지원 등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정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