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예상 외 경기 확장 국면, 中 제조업 PMI 50.5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31010017393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3. 31. 18:34

美 관세폭탄 전 선구매 영향
무역 불확실성 불구 안정화 신호
외신의 시장 전망치 부합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기자 = 중국의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두 달째 '경기 확장' 국면을 이어갔다. 수년 전부터 지속 조짐을 보여왔던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하 물가 하락) 경향을 감안하면 상당히 예상 외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clip20250331183017
중국의 제조업 PMI가 예상 외로 2개월 연속 확장 국면을 이어갔다. 3월의 경우 전달보다 0.3P 상승한 50.5를 기록했다./징지르바오(經濟日報).
중국 국가통계국은 3월 제조업 PMI가 전달보다 0.3P 상승한 50.5로 집계됐다고 31일 발표했다. 이는 로이터 통신이 예측한 시장 전망치에 나름 부합한 실적으로 중국의 무역 불확실성이 커져감에도 불구, 안정화의 신호를 보이는 것아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중국이 최근 내놓은 경기 부양책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해외 구매자들이 미국의 추가 제재를 예상해 선구매에 나선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업 구매 담당자 대상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PMI는 관련 분야의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50보다 높으면 경기 확장, 낮으면 경기 수축 국면을 의미한다.

중국 제조업 PMI는 당국이 잇따라 경기 부양 의지를 피력했던 지난해 10월 50.1로 확장 국면으로 돌아서 석달 연속 50 이상을 유지한 바 있다. 그러다 지난 1월 49.1로 하락, 경기 확장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다행히도 지난 2월 50.2로 올라서면서 확장 국면으로 다시 돌아섰다. 이달에도 이를 유지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PMI는 51.2로 전달보다 1.3P 하락했다. 그러나 중형기업 PMI는 49.9, 소형기업 PMI는 49.6으로 전달 대비 각각 0.7P, 3.3P 상승했다.

이외에 건설업과 서비스업으로 구성되는 비제조업 PMI는 3월 50.8로 전달보다 0.4P올랐다. 업종별로는 건설업 업황지수가 53.4로 0.7P, 서비스업 업황지수도 50.3으로 0.3P 상승했다. 제조업과 비제조업을 종합한 중국 3월 PMI는 51.4로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이에 대해 국가통계국은 "이달에는 춘제(春節·구정 또는 설) 요인의 영향이 점차 사라지면서 기업의 생산 경영 활동이 가속화됐다"면서 "중국의 경제가 전반적으로 확장세를 이어갔다"고 평가했다.

중국 정부는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소비 진작책을 통해 내수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확실히 효과도 분명히 나타나고도 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미국의 추가 관세 정책이 시행되면 아무래도 중국의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관세 및 무역전쟁의 위력은 역시 대단하다고 해야 할 것 같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