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美 관세협상 나선 베트남, 中 우회수출 단속 나선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13010007470

글자크기

닫기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승인 : 2025. 04. 13. 16:09

COMBO-US-VIETNAM-TRADE-TARIFFS-DIPLOMACY <YONHAP NO-0119> (AFP)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AFP 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미국으로부터 46%의 초고율 상호관세를 부과받았던 베트남이 자국을 통한 중국산 제품의 우회수출 단속과 통제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는 정부 문서와 소식통을 인용해 베트남이 자국을 통한 중국산 상품의 대미 우회 수출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민감 품목의 대중국 수출 통제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이달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46%의 초고율 상호관세를 부과 받은 베트남은 미국과 협상에 나섰다. 지난 10일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전격 유예한 직후 미국을 방문 중이던 호 득 퍽 베트남 부총리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회담하고 무역협정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이 과정에서 베트남과 미국은 '무역 사기' 근절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는 사실상 중국의 불법 환적을 겨냥한 것이다. 중국산 제품을 베트남으로 들여와 생산국 표시를 '베트남'으로 바꾸는 택갈이를 통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것인데 트럼프 행정부는 이에 대해 강력히 문제를 제기해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책사'로 꼽히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도 베트남이 관세를 피하려는 중국의 환적지로 이용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베트남 정부도 공식적으로 "무역사기를 단속할 것"이라 밝혔다. 베트남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직후인 3일 지식재산권(IP) 침해와 환적지 의혹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긴급 회의를 열기도 했다. 이 회의에선 산업무역부와 세관에 해당 문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불법 환적 단속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라는 지시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로이터에 베트남이 중국을 자극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베트남은 아울러 민간·군사 목적으로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반도체 등 이중 용도 품목의 수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할 계획이다. 주요 무역국들이 "수출국의 동의 없이 이러한 원천 기술이 제3국으로 이전될 가능성을 최소화 해 줄 것을 요청했다"는 것인데, 이 역시 민감 품목이 제3국을 거쳐 중국으로 수입되는 것을 우려한 조치로 보인다. 베트남 정부는 이 같은 민감 품목의 수출입과 관련해 새로운 신고·승인 절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소식통들은 베트남이 이 같은 대응과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46%에서 22~28% 수준 혹은 그 아래로 낮추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했다.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