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KPI 절대평가·퇴직직원 재채용 제도 도입
스테이블코인 등 새로운 영업모델 주문도
|
우리은행은 지난 25일 서울 회현동 본사에서 '2025 하반기 경영전략회의'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정진완 은행장을 비롯한 임원, 본부장, 지점장 등 470여명이 참석했으며, '도약의 시간, Ready for 우리!'를 슬로건으로 변화와 효율 중심의 전략 방향을 공유했다.
정 행장은 이날 CEO 메시지를 통해 상반기 주요 변화를 평가하고, 하반기 경영 과제를 제시했다. 정 행장은 상반기 업무매뉴얼 완성, 블록 리브(Block Leave) 제도 도입, 스마트시재기·인사카드 개편 등의 내부 개혁을 언급하며, "이를 통해 진성업무에 집중하고 효율성을 높여, 임직원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하반기 전략으로 KPI 절대평가와 퇴직직원 재채용 제도 도입을 강조했다. 정 행장은 "KPI 절대평가는 공정한 평가 기준으로 자리잡았고, 고객 중심의 진성영업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내년에는 인적 평가로 확대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퇴직직원의 지식과 경험을 영업현장에서 계속 활용해 인력 운용의 효율성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외에도 조직 내 지식 순환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도 제시됐다. 디지털 환경 변화와 초고령사회 진입, 주4.5일제·초개인화 사회 등 3대 변화를 지목하며, '스테이블코인 비즈니스모델 발굴', '외국환거래 고객기반 확대', 'AI 시스템 내재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4.5일제 및 초개인화 사회에 따른 고객의 라이프스타일과 근로환경 변화에 맞춰 새로운 영업모델과 업무모델을 만들 것을 임직원들에게 주문했다.
정 행장은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효율적으로 일하면서, 고객과 내실이라는 우리 업무의 본질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며 "이를 바탕으로 고객 수를 늘리는 영업을 지속하고, 앞으로 고객이 가장 먼저 찾는 은행을 만들어 나가자"고 강조했다.
한편, 우리은행은 2022년 금융권 최초로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한 디지털 공급망금융 플랫폼 '원비즈플라자'를 선보인 이후, 데이터 기반 금융 지원체계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우리 SAFE 정산 서비스'를 통해 PG사와 협업하며 투명한 상거래 환경 조성에도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