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국 이어 뉴질랜드·영국·캐나다·호주, 베이징올림픽 외교 보이콧...한국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3.asiatoday.co.kr/kn/view.php?key=20211209010005217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1. 12. 09. 07:40

캐나다 결정, 중국의 캐나다인 임의 구금 사건 영향
호주, 중국의 무역보복 영향...일본, 보이콧 검토 중
청와대 신중모드 "보이콧 검토 않해"
베이징 올림픽
미국·뉴질랜드에 이어 영국·호주·캐나다 등 동맹국이 내년 2월 중국 베이징(北京) 동계올림픽을 외교적으로 보이콧할 것이라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사진은 한 관계자가 지난 9월 17일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의 모토를 발표하는 행사가 시작되기 전에 베이징 동계올림픽 로고를 바로잡고 있는 모습./사진=AP=연합뉴스
미국·뉴질랜드에 이어 영국·호주·캐나다 등 동맹국이 내년 2월 중국 베이징(北京) 동계올림픽을 외교적으로 보이콧할 것이라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미국·영국·호주의 대(對)중국 안보 동맹인 ‘오커스(AUKUS)’와 미국과 영국·캐나다·뉴질랜드·호주 등 영어권 5개국 기밀정보 공유동맹인 ‘파이브 아이즈’ 회원국 모두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선수단은 파견하지만 정상이나 장관 등 정부나 정치권 인사로 구성된 공식 사절단을 보내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다.

일본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각료 파견 보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보리스 존슨 영국·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이날 각각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장관이나 정부 인사를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뤼도 총리는 “우리는 중국 정부의 반복되는 인권 침해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며 “그들은 우리가 외교 대표를 보내지 않는 것이라는 데 놀라지 않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뤼도 총리는 이번 결정과 관련해 최근 몇달 동안 동맹국들과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백악관에서 열린 트뤼도 총리와의 회담 자리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6일 언론 브리핑에서 “바이든 정부는 신장(新疆)에서 중국의 지속적인 종족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기타 인권 유린을 감안해 어떤 외교적, 공식적 대표단도 베이징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Canada Diplomats Olympics
취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8일(현지시간) 캐나다 오타와에서 내년 2월 예정된 중국 베이징(北京) 동계올림픽을 외교적으로 보이콧할 것이라고 발표하고 있다. 트뤼도 총리의 발표를 멜라니 졸리 외교부 장관(왼쪽)과 파스칼 생통쥬 체육부 장관이 지켜보고 있다./사진=오타와 AP=연합뉴스
이번 결정은 캐나다가 2018년 12월 1일 미국의 요청에 따라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華爲)의 멍완저우(孟晩舟·49) 최고재무책임자(CFO) 겸 부회장을 체포하자 중국이 캐나다인 2명을 간첩 혐의로 구금한 사건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멍 부회장과 캐나다인 2명은 양국 정부의 합의에 따라 지난 9월 말 풀러나 각각 자국으로 돌아갔지만 후유증은 크다.

트뤼도 총리는 이날 “자의적 구금에 대한 우려는 실제이며 전 세계 많은 국가가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교장관은 더 많은 나라가 ‘외교적 보이콧’과 유사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그는 “중국에 강력한 신호를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인권 침해는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존슨 총리도 이날 의회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해 사실상 외교적 보이콧이 있을 것”이라며 “어떤 장관이나 관리들도 참석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영국 런던주재 미국대사관 대변인은 영국의 결정이 올림픽 정신에 위배된다며 “중국 정부는 영국 정부의 장관이나 관리들을 베이징 올림픽에 초대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모리슨 총리는 중국 정부의 신장웨이우얼(新疆維吾爾·신장위구르) 자치구 인권 탄압과 호주에 대한 무역 보복 등에 관해 논의하기 위해 외교 채널을 재개하려고 했으나 중국이 응답하지 않은 점을 ‘외교적 보이콧’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호주의 최대 수출국으로 양국은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였다. 하지만 호주가 미국 주도의 화웨이 제재에 참여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래에 대한 조사 요구에 동참하자 중국이 호주산 석탄과 바닷가재·와인 등의 수입 금지로 보복하면서 관계가 틀어졌다.

이에 미국과 영국은 9월 15일 호주와 함께 오커스 출범을 밝히면서 첫 구상으로 호주 해군의 핵추진 잠수함 획득을 지원하기로 결정, 중국의 반발을 샀다.

미국에 이어 뉴질랜드도 7일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는 미국이 주목하는 인권 문제보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포함해 여러 가지 안전상 이유에 중점을 둔 조치라고 설명했다.

일본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각료 파견을 보류하는 방향으로 검토 중이라고 산케이(産經)신문이 8일 보도했다.

다만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올림픽이나 우리나라(일본)의 외교에서의 의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국익의 관점에서 독자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7일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중 정책을 숙고하겠다고 했다.

반면 2026년 동계올림픽 개최국인 이탈리아는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차기 올림픽 개최국은 직전 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파견하는 것이 관례다.

청와대는 “우리 정부는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정부 대표 참석과 관련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