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국토부·성남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3일 분당구 야탑동에 지을 예정이던 주택 1500가구의 대체부지로 시 관내 복수의 유휴부지를 선정해 이를 국토부에 제안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국토부는 1기 신도시 재건축에 따른 이주민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이주대책으로 야탑동 성남중앙도서권 인근 성남보건소 건설 예정 부지에 공공 분양주택 1500가구를 짓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 시행자로 참여해 전체를 공공 분양주택으로 짓고, 전세 물량 활용해 이주 수요를 흡수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난달 27일 성남시는 인근 주민들이 공공주택 건설에 반대하는 점 등을 이유로 국토부에 "사전협의 없는 일방적 발표였다"고 대응했다. 이후 시는 이주대책용 부지 취소를 요청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이달 4일까지 대체부지를 제시하지 않을 경우 내년도 정비사업 지정 물량을 축소하겠다"고 맞서는 등 갈등을 빚었다.
성남시가 대체부지를 모색하며 국토부와의 갈등도 일단락될 전망이다. 시가 대체부지로 제안한 곳은 성남시 관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포함해 3∼4곳이다. 앞서 국토부가 분당신도시 이주대책 후보지로 발표한 곳과는 별개의 부지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는 성남시가 제안한 복수의 대체부지를 면밀히 검토할 계획이다. 부지별 △구체적인 건축 물량 △주택 공급 시기 △사업방식 등 추가 자료를 성남시에 요청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분당신도시 이주 시점과 주택공급 시기가 맞아떨어져야 하는 만큼 성남시로부터 세부 건설 계획을 받아본 뒤 대체부지를 최종적으로 확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