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비관세 장벽·통화·정부 보조금 협의"
"외국, 문제 해결 방법 가져오면 협상"
닛케이 "협상 여건 미조성"
|
베선트 장관은 이날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현재 약 70개국이 세계 무역의 재균형을 돕고 싶다고 연락해 왔다"며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함께 일본과의 협상을 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
◇ 베선트 미 재무장관 "그리어 USTR 대표와 함께 일본과 협상 시작...관세·비관세 장벽·통화·정부 보조금 협의"
"외국 관리들, 관세 인하·비관세 장벽 철폐·환율 조작 중단·보조금 중단 방법 제안하면 협상"
베선트 장관은 이어 "우리는 새로운 글로벌 무역의 황금기를 위한 대통령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일본과의 협상과 관련, "관세·비관세 무역장벽·통화 문제·정부 보조금과 관련해 앞으로 생산적인 협의를 기대한다"며 "이 과정에 대한 일본 정부의 접촉과 신중한 접근 방식에 감사한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또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을 지낸 래리 커들로가 진행된 폭스 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한 지렛대를 가지는 데 누구보다 뛰어나다며 "그는 4월 2일 관세 윤곽을 제시해 그 이후 각국이 그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나는 외국 관리들에게 냉정함을 유지하면서 (사태를) 확대하지 말고, 관세 인하·비관세 장벽 철폐 방법, 환율 조작 및 보조금 금융 중단 방법에 관한 제안을 가지고, 우리에게 오라고 했다"며 "그 시점에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할 준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는 이날 약 25분간 전화 통화를 하면서 미국과 일본이 담당 장관을 지명해 관세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일본 교도(共同)통신·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 등이 보도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트루스소셜을 통해 자신이 지난 2일 부과한 상호 관세와 동일한 34%의 '보복 관세' 조치를 취한 중국에 대해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협상을 요청해 온 다른 나라들과는 즉시 관세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
"'엔저-달러 강세' 장기화 경계, 미·일 공감대"
닛케이는 일본 측은 9일 오전 0시 1분부터 발효되는 일본에 대한 24%의 상호 관세와 함께 이미 부과된 자동차·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의 인하를 요구하고 있고, 미국 측은 농산물 관세 등을 문제 삼고 있어 본격적인 무역 협상을 위한 여건이 조성돼 있지 않다고 분석했다.
다만 환율 시장 문제와 관련, 일본 재무성 관리는 일본 측도 '엔저-달러 강세'가 장기화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어 "미·일 간에 어떤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미·일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무역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당시 일본 측은 미국에 대해 쇠고기 관세 대폭 인하 등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수준의 시장 개방을 제안했고, 미국 측은 자동차 관세 발효 등을 유보하면서 협상이 타결됐었다.
하지만 이번 협상에서는 통화 문제·비관세 장벽 등이 주요 의제로 부상하고 있어 협상 과정에 난항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 엔화·중국 위안화 등 외국 통화 가치의 평가 절하가 미국에 매우 불공정한 불이익을 초래한다고 비판해 왔다.
|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8일 워싱턴 D.C.에 도착해 9일까지 그리어 USTR 대표 등을 만나 한국에 대한 25% 상호 관세뿐 아니라 철강·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향후 부과할 것으로 보이는 반도체 문제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