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지 수목 전도 우려…지하차도·배수로 사전 점검 당부
|
이한경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강풍·강수 등 위험기상 대비 관계기관 긴급 대책회의'에서 "12일 밤부터 13일 새벽 사이 전국 대부분 지역에 강풍특보 수준의 돌풍성 강풍이 예보됐다"며 "산불 피해지, 공사현장, 해안가 등 각 분야에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주말 중부지방에는 10~20mm, 남부지방과 제주도에는 20~60mm의 강수와 함께 강원 산지에는 1~5cm의 적설이 예상된다. 낙뢰와 우박에 따른 피해 가능성도 있다.
최근 강풍 예보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의 대비가 미흡해 인명 및 재산 피해로 이어지는 사례가 계속되고 있다. 지난 1월 충북 청주에서는 공사장 외벽 패널이 떨어지며 500여 가구가 일시 정전됐고, 지난 3월에는 건설현장 크레인이 강풍에 쓰러져 작업자가 부상을 입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강풍에 취약한 산불 피해지의 고사목이나 약해진 나무가 2차 피해를 일으킬 가능성에 대비해 산지 인근 도로와 거주지 주변을 집중 점검할 것을 주문했다. 공사장 가림막, 고층건물 외부 간판 및 가설물에 대해서는 고정상태를 반드시 확인하고, 필요시 작업 중단까지 검토할 방침이다.
또한 해안가 낚시나 해양레저 활동 등에 대한 통제와 경고 알림을 강화하고, 선박 접근 자제 조치도 병행한다. 농촌 지역에는 비닐하우스 골조와 비닐을 단단히 고정하고, 농기계나 자재는 사전에 창고에 보관하도록 안내했다.
강수에 따른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도로변 빗물받이 및 배수로의 이물질 제거와 저지대, 지하차도 등 침수 우려 지역의 관리도 함께 추진된다.
정부는 주말 동안 위기 경보 단계를 유지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기상청·소방청·경찰청 등과 함께 긴급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할 방침이다.
이 본부장은 "최근 4년간 수도권 강풍특보 발효 건수가 이전보다 34% 증가했지만, 대비 부족으로 인한 피해는 여전하다"며 "국민 여러분도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현장 통제나 대피 요청에 적극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