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진영 “대선마다 나오는 빅 텐트론, 실체 없어”
|
15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대선 경선과 관련해 "이재명 세력을 극복해야 한다. 우리 안에 많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만큼은 공통의 사명"이라고 밝혔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도 SBS라디오에 출연해 "개혁신당 뿐 아니라 민주당의 반이재명 세력도 같이 해야 막을 수 있다. 우리 당 후보가 탄생하면 그 사람을 중심으로 반이재명 연대를 만들어야 한다"며 "필요하다면 연정도 할 수 있다. 연정이 제안되고 나라를 공동으로 운영할 수 있으면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도 경선 불참을 선언한 유승민 전 의원과 관련해 "이재명을 이기기 위해서는 어떤 경우든 힘을 합쳐야 한다"고 전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도 CBS라디오에 나와 "원칙적으로 보수 진영의 많은 분과 연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조기대선 국면에서 여론조사 지지율 독주를 하고 있는 이 예비후보를 저지하기 위해 진영을 막론하고 '빅 텐트'를 구성해 세력의 결집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들이다. 빅 텐트는 정치적으로 노선이 다양한 세력이 연대해 단일 후보를 내는 전략을 일컫는다. 빅 텐트 구성원은 새미래민주당의 이낙연 전 총리, 개혁신당의 이준석 대선 후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등이 거론된다.
이 가운데 이준석 후보가 '빅 텐트론'에 대해 반발하고 나섰다. 이준석 후보는 "빅 텐트 스토킹을 멈추라. 이준석은 이준석의 길을 간다. 국민의힘 주자들은 물론 3지대에 머무는 정치인들까지 가세했다. 이름만 바뀌었을 뿐 구태는 여전하다"며 "빅 텐트는 낡은 정치공학이다. 과거 패권 잔재를 쓸어 모은 권력재조립 시도에 불과하다. 무엇이 그렇게 자신이 없나"라고 일침했다.
민주당도 빅 텐트론이 허상이라고 받아치고 나섰다. 친명(친이재명)계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에 나와 "대선마다 제3지대 후보론, 제3지대 통합, 빅 텐트론 등 여러 가지 나왔으나 실현된 바 없다"고 말했다. 박지원 민주당 의원도 CBS라디오에 나와 "항상 빅 텐트론이 선거마다 나오지만 실체가 없다. 오히려 제3지대서 텐트가 쳐진다면 국민의힘에 손해가 날 것"이라고 비판했다.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 으로 민주당 경선이 흥행 요소가 없어지자 진보진영에서도 제3지대 통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두관 전 경남지사는 민주당 경선룰에 반발해 경선 불참 선언을 하며 "협의 없는 경선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한편, 조기대선까지 50일가량 남은 상황인 만큼 빅 텐트가 실현되기엔 시간이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다양한 주자들의 이해관계가 충돌해 대통합을 이루기엔 갈 길이 멀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국민의힘 차원에서 독자적인 경쟁력이 가시화돼야 빅 텐트 구성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