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원팀으로 바이오 역량 총결집
산업 대전환 목표·방안 제시
|
국가바이오위원회는 23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출범식을 갖고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위원회는 바이오 분야 범부처 최상위 거버넌스로서 국가 전체를 아우르는 시각에서 개별 정부 부처 정책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바이오 전 분야에 대한 민간 영역을 하나로 결집한다는 목적 하에 이날 회의에서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을 제시했다.
◇산업 대전환: 기술사업화·성장단계별 지원
정부는 국내 바이오 산업에 대해 스타트업 기업들이 여전히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벤처기업 기술 수출도 감소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산업 성장에 맞는 기업 지원이 시급하다는 판단 하에 바이오 기업의 제품화와 제조의 근본적 혁신을 지원하고 기업 성장 촉진,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 생산 시장 주도, 신시장 확보 등을 통해서 바이오를 반도체를 잇는 대한민국 대표 성장동력으로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먼저 제품 및 제조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기술 사업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기술력은 있으나 생산설비가 없는 국내의 바이오기업을 위해 기(旣)구축한 5개의 공공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 생산 기관을 활용해 세포주 제조, 시료·완제품 생산 등 제품화를 지원한다. 바이오 전 분야의 연구·제조 혁신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공공 바이오 파운드리를 구축하고, 바이오 제조 전주기를 지원하는 가칭 K-바이오 메이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후보물질 도출과 제조 공정 개발의 자동화·고속화·표준화를 추진한다.
기업 성장 단계별 지원 방안도 제시했다. 바이오 기업 성장 단계별로 필수적인 자금조달, 민간투자 활성화, 기업 성장역량 강화,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기업의 초기투자와 스케일업을 위해 1조원 규모 이상의 전용 펀드를 신속히 조성하고, 정책금융과 무역보험 지원도 확대해 성장 사다리를 구축한다. 필수 바이오 기술은 국가전략기술에 추가해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확대한다. 맞춤형 경영 컨설팅, 해외 인증 지원과 함께 해외 주요국에 지원거점을 확대해 국내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다.
정부는 아울러 강한 분야는 더 강하게, 새로운 시장은 더 빠르게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2032년까지 국내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 생산 능력을 현재의 2.5배로 확대해 생산·매출 세계 1위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인프라 등 기업 애로를 해소하고, 새로운 모달리티 등 사업 다각화도 지원한다. 현재 80대인 바이오 소부장 핵심 품목을 100대 이상으로 확대하고 실증지원센터 구축, 수요·규제기관 협력 등을 통해 바이오 소부장의 단계적 국산화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국내 소부장 자립화율을 15%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최상목 "대한민국 도약 위해 바이오산업 육성 필요"
한편 '드넓은 가능성의 신대륙, 첨단바이오 시대 개막'이라는 슬로건 아래 개최된 이날 행사는 국가바이오위원회의 출범을 알리고 글로벌 바이오 5대 강국 도약을 위한 국가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 권한대행은 모두발언에서 주요 선진국들의 바이오 분야 국가전략 마련, 관련 투자 확대 등 최근의 변화를 언급하며 "반도체·자동차 등 제조업 중심 경제로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연 대한민국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제 동력원으로서 바이오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며 "국가바이오위원회를 범부처 최상위 거버넌스로 출범시켜 관계 기관에서 개별 추진 중인 정책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보건·의료, 식량, 자원, 에너지, 환경 등 바이오 전 분야에 대한 민·관의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 논의된 사항들을 바탕으로 민·관이 힘을 합쳐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신속히 도출해 달라"며 "국가바이오위원회 지원단을 빠르게 출범시켜 관련 활동을 밀착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