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거래 촉진 위해 '빈집은행' 사업 병행
|
3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새롭게 추진하는 '농촌소멸 대응 빈집 재생 사업'을 통해 빈집이 밀집된 마을을 대상으로 해당 빈집을 △주거·워케이션 △문화·체험 △창업공간 등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시·군이 민간과 협업해 기획 단계부터 사업을 함께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이달 말까지 각 지방자치단체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향후 선정된 3개 시·군에는 개소당 총 21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또한 농식품부는 민간의 빈집 거래 촉진을 위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농촌 빈집은행 활성화 지원' 신규사업도 준비 중이다.
오는 4일 지자체 대상 사업 설명회를 개최하고 이달 말까지 선정 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다.
박수진 농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폐가가 된 농촌빈집은 주민 주거환경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지역 소멸을 가속화하는 요인이 된다"며 "민간의 창의와 혁신을 통해 새로운 지역 자원으로 되살리는 계기를 마련하면 더 많은 이들이 머물고 싶은 농촌을 만드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지자체, 민간 등과 지속 소통하면서 필요한 빈집 정책을 발굴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