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규모 61조원 연평균 31% 성장
육성 법률안 국회 통과… 지원 확대
등록금 65%·운영비 3600만원 지원
|
12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달 31일까지 '푸드테크 계약학과' 운영대학 모집 공고가 진행된다. 최종 선정 대학은 다음달 말 발표될 예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신청 대학의 전문교원 확보 및 인프라 구축 정도 등을 평가한 뒤 적합한 곳으로 지정할 계획"이라며 "계약학과 지위는 2년 단위로 중간점검 및 최종평가 등을 통해 유지 여부가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푸드테크는 식품(Food)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식품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에 첨단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산업을 말한다. 조리로봇, 3차원 식품 프린팅, 대체 식품 생산 등이 핵심 기술로 꼽힌다.
농식품부는 푸드테크를 농업 저변을 넓힐 '미래 먹거리'로 보고 있다. 국내 푸드테크 시장 규모는 지난 2020년 기준 61조 원으로 연평균 31% 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농식품부는 2022년 말 '푸드테크 산업 발전방안'을 통해 관련 분야 지원체계를 확립했다. 지난해 11월 '푸드테크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법적 지원 근거도 마련됐다.
농식품부는 푸드테크 산업 육성 일환으로 지난 2020년부터 계약학과를 지정·운영해 왔다. 계약학과는 대학이 정부·지방자치단체·산업체 등과 계약을 맺고 맞춤형 학과를 신설하는 제도다.
현재 푸드테크 계약학과 개설 대학은 총 8곳으로 △경희대 △고려대(세종) △서울대 △전남대 △전북대 △전주대 △포항공대 △한양대 등이다.
각 대학은 참여 기업 수요에 따라 전문 분야를 정해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인재양성 뿐만 아니라 기업역량 제고도 목적에 포함돼 있다.
일례로 서울대는 인공지능(AI) 등을 기반으로 한 푸드테크 전반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춘다. 경희대의 경우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메디케어식품(미래식품)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계약학과 개설 대학에 등록금 및 학과 운영비 등 일부를 지원한다. 학생의 경우 등록금 65%를 국고로 지원받는다. 대학은 학기당 학과 운영비를 연간 3500만 원 내외로 보조받는다. 현장 애로기술 해결과제 수행비도 연간 5000만 원 내외로 지원받을 수 있다.
계약학과 교육 대상은 전문인력 양성수요가 있는 중소·중견 식품기업 재직자로 학사 이상 학위를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대기업 재직자는 정원의 10% 이내로 선발할 수 있지만 등록금 등 국비가 지원되지 않는다.
교육과정은 2년 4학기제다. 푸드테크 개념 및 융합기술 등 내용을 담은 필수과목과 선택·실습과목을 총 24학점 이수해야 한다. 선택·실습과목은 대학이 기업 등과 협의를 통해 자율 편성할 수 있다.
수료생은 재직 회사에 돌아가 푸드테크 등을 활용한 신사업 핵심 인력으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기원 서울대 푸드테크학과장(월드푸드테크협의회 공동회장)은 "기업이 글로벌화를 위해 연구개발(R&D) 등 첨단 분야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며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푸드테크 계약학과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교육 뿐만 아니라 회사에서 원하는 실증과제도 같이 수행한다. 학교 수업이나 전문가, 첨단장비 등을 활용해 기술 및 특허를 확보하려는 차원도 있어 (교육) 만족도가 큰 편"이라며 "장기적으로 월드푸드테크협의회 등과 업무협약(MOU)을 맺어 박사 과정도 만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농식품부는 푸드테크 산업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연구지원센터를 지난해 3개소에서 올해 5개소로 확대한다. 푸드테크를 포함한 신산업 생산·연구 인프라에 1212억 원을 투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