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K-방산 ‘숨은 조력자’…강소기업들, 세계 수준 기술력으로 방산 수출 뒷받침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31010018186

글자크기

닫기

구필현 국방전문기자

승인 : 2025. 07. 31. 11:16

(주)지슨과 (주)에이치시티 등 조달 등록 강소기업,
국산화 넘어 '글로벌 경쟁력' 입증
KakaoTalk_20250729_104337832
군 교정 자동화 사업 확대와 더불어 유럽의 NATO 및 EU 회원국의 전자파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시험 인증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 공장 전경, 사진=(주)에이치시티 IR 제공
한국의 방위산업이 K9 자주포, K2 전차, FA-50 전투기 등 대형 무기체계 수출을 통해 전 세계 주목을 받는 가운데, 그 이면에는 이들 무기 체계의 완성도를 뒷받침하는 강소기업들의 기술력이 존재한다.

조용히, 그러나 결정적인 순간에 실력을 발휘하는 이들은 이른바 'K-방산의 숨은 조력자'들이다.

서울에 본사를 둔 (주)지슨은 보안 전문기업으로, 최근 무선 백도어 해킹 탐지장비(A-H)를 조달청의 '우수 조달제품'으로 등록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의 도청탐지장비(A-I)에 이은 연속 선정이다.

0731 지슨02
무선백도어 해킹 탐지 시스템 Alpha-H, 사진=㈜지슨 홈페이지 캡쳐
이에 따라 지슨은 정부기관과 금액에 제한 없이 수의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자격을 갖췄다.

제품 성능과 시장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셈이다.

지슨의 A-H 장비는 군사 기밀 보호, 방산 수출 협상 중 해킹 차단 등 실제 작전과 방산 실무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K-방산 수출 계약 과정에서 기술 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이런 보안장비는 방산 제품의 신뢰도를 끌어올리는 핵심 요소로 부각된다.

지슨은 중기부 성능 인정과 조달청 등록을 기반으로 해외 군수 조달시장 진출도 모색 중이다.

0731 지슨01
미국 NSA는 무선 백도어를 통해 IT 기기 및 네트워크를 감시, 정보를 수집한다.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로 시스코 라우터, 구글, 페이스북 등에 백도어가 설치된 사실이 드러났으며, 이는 PRISM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 사용자 데이터를 무차별 수집한다. 사진=㈜지슨 홈페이지 캡쳐
시험·인증 분야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는 또 다른 기업은 (주)에이치시티다.

이 회사는 올해 2분기 기준 매출 292억 원, 영업이익 50억 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특히 군 교정 자동화, 고주파·전자파 시험, 통신장비 인증 등 방산 관련 분야의 매출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에이치시티는 NATO, EU 등에서 요구하는 전자파 적합성(EMC) 인증 시험 역량을 확보하고 있어, K2 전차나 K9 자주포, 천무 다연장로켓 등 주요 수출 무기의 해외 인증을 직접 뒷받침해왔다.

이 회사 관계자는 "한국 무기체계가 단순한 가격 경쟁을 넘어서, 세계 인증 기준을 통과하는 기술 신뢰성을 갖추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부품, 시험, 인증, 보안 등 비(非)완제품 영역에서 활약하는 강소기업들은 무기 수출의 실질적 '안정 장치' 역할을 하고 있다.

무기의 신뢰도, 계약의 지속성, 운용 유지보수 등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셈이다. 특히 유럽, 동남아 지역에서는 이러한 기술 인프라가 방산 계약의 유지 조건으로 작동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무기 수출의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기술과 서비스까지 포함하는 '방산 파트너십'의 시대"라며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민첩성이 없이는 K-방산의 지속 가능성도 없다"고 지적한다.

정부도 이를 인식해 우수 국산기술에 대한 수의계약 허용 범위를 확대하고, 조달 등록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제도 개선에 나서고 있다.

0731 HCT 02
군 교정 자동화 사업 확대와 더불어, 고주파·전자파 시험, 통신장비 인증 등은 K-방산 제품들의 해외 인증 통과와 수출 확대에 핵심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HCT의 200여 개 국가 인증 서비스 지원 현황, 사진=(주)에이치시티 IR 제공
특히 방위사업청은 올해부터 전자전, AI 기반 전투체계, 사이버보안 등 첨단 분야에서 중소기업과의 공동개발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방산 기술 글로벌 인증 지원사업'을 통해 한국 강소기업들의 NATO 조달시장 진입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화려한 전차나 전투기보다, 보이지 않는 기술이 방산 수출을 움직이고 있다.

지슨과 에이치시티 같은 기업들이야말로 K-방산의 실질적인 경쟁력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구필현 국방전문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