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7월 미 도매물가 전월 대비 0.9% 상승...관세 부담 기업들, 가격 인상 시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4010007305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8. 15. 05:20

7월 미 생산자물가지수, 전월 대비 0.9% 상승, 3월 1개월만 최고치
기업들, 관세 부담, 가격에 반영 시작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 3.3%, 연준 목표치 2.0% 크게 상회
ppi
2024년 7월부터 2025년 7월까지 미국 최종 수요(흑색)·최종 수요 상품(청색)·최종 수요 서비스의 전월 대비 상승률 추이./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BLS) 자료 캡처
7월 미국 도매 물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정책의 여파로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9% 상승했다고 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BLS)이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2022년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면서 다우존스 집계 전문가 전망치 0.2%도 크게 웃돌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PPI 상승률도 0.9%로 전문가 전망치 0.3%를 크게 상회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8% 상승했다.

에너지·식품·무역 서비스를 제외한 지수는 0.6% 상승해 2022년 3월 이후 가장 크게 상승했다.

전년 동기 대비 PPI 상승률은 3.3%로 2월(3.4%)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이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치 연 2%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도매 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받아들여진다.

ppi 연
2024년 7월부터 2025년 7월까지 미국 최종 수요(흑색)·최종 수요 상품(청색)·최종 수요 서비스의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 추이./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BLS) 자료 캡처
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은 전월 대비 1.1% 상승해 2022년 3월(1.3%) 이후 3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 전체 생산자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특히 도매업자와 소매업자가 받는 마진 변화를 측정하는 거래(Trade) 서비스 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2.0% 올라 7월 서비스 가격 상승에 기여했다. 세부적으로는 기계 및 장비 도매업 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3.8% 급등, 서비스 가격 상승분의 30%에 기여했다.

거래 서비스 가격지수 상승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경제방송 CNBC가 평가했다.

그동안 관세 상승 비용에도 불구하고 가격 인상을 자제해온 기업들이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을 조정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앞서 지난 12일 발표된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7%로 6월과 동일해 인플레이션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덜어낸 바 있다.

그러나 관세 영향에 따른 가격 상승 압력으로 7월 생산자물가 상승 폭 확대가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관세의 물가 영향에 대한 우려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CPI 발표 이후 은 연준이 9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은 CPI 발표 이후 상승했지만, PPI 발표 이후 이날 오전 10시 40분(미국 동부시각·한국시각 오후 11시 40분) 기준 92.5%로 전날(94.3%) 대비 1.8%포인트 하락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