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표 "공공부문 역할 중요해…환영"
다만 각종 보증의무 제공에 한계
"정부 차원 종합 지원정책 필요"
유니슨 10㎿ 넘어 16㎿ 터빈도 개발 목표
|
아시아투데이는 지난 11일 우리나라 국내 최대 용량 터빈인 '10㎿(메가와트)'급 대형 해상풍력터빈 'U210'을 개발 중인 박원서 유니슨 대표를 만나 풍력업계의 현재와 미래를 들여다 봤다. 이날 경기 과천에 위치한 유니슨 서울사무소에서 만난 박 대표는 "공공주도 해상풍력 입찰 시장 개설을 환영"한다면서 "다만 정부 또는 공공부문에서 가동률 보증 등 보완적인 정책이 함께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정부는 올해부터 기존 풍력입찰 시장에 공공주도 입찰시장을 별도로 개설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에너지 안보와 국내 풍력 생태계 조성을 위해 공공부문의 역할이 필요하다며 환영의 뜻을 내비치고 있다. 박 대표 역시 이에 공감하면서도 단순히 입찰 시장을 여는 것을 넘어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대표적인 예로 가동률 보증이다. 해상풍력은 기상 조건과 불안정한 풍속 영향에 풍속이 3m/s 이하로 떨어지면 발전이 멈추거나 출력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주와 전남 영광 해상풍력 단지의 평균 가동률은 약 30% 수준에 그친다.
박 대표는 "육상풍력의 경우 주요 발전 공기업들과 유니슨이 보증 문제를 상호해결해 왔지만, 해상풍력의 경우 워낙 규모가 크기 때문에 이같은 논의가 어렵다"며 "해상풍력 초기 시장 단계에서는 정부에서 보증을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할 때 유니슨 터빈을 구입할 시 재무 등을 고려해 보증역량이 적다고 보고 구매하기 망설일 때 정부에서 보증에 나서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또한 박 대표는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에 따른 재생에너지 역행 우려에 대해서도 오히려 기회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사업 철수 혹은 중단에 대한 사례들이 많아서 전체적인 시장 분위기는 침체되어 보이지만, 오히려 뒤집어 보면 우리나라에 기회가 될 것"이라며 "터빈 기술 개발 역시 우리나라가 시간적 여유를 벌 수 있고, 지나치게 높게 책정돼 있는 공급망 단가도 낮아질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해석했다.
끝으로 박 대표는 해상풍력 터빈 10㎿ 개발을 완료한 후 2029년 이전에 16㎿까지 완수하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현재 부품 국산화율 47.1% 수준에서 61.4%까지 확대할 목표다. 박 대표는 "우선 10㎿ 터빈을 공공부문 시장에서 경험을 쌓고 일본, 대만, 필리핀, 베트남 등 해외로 외연을 확장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