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정부, 포항·서산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철강·석화 살린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m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8001633599

글자크기

닫기

김유라 기자

승인 : 2025. 08. 28. 16:34

2027년 8월까지 2년간 지원
연구개발·고용안정 등 적극 반영
AKR20250828027100063_02_i_P4
서산 대산석유화학단지 전경./서산시
정부가 석유화학·철강 산업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충남 서산시와 경북 포항시에 도움의 손을 내밀었다. 향후 2년간 자금 지원과 인력 양성 등 맞춤형 지원책을 집중 투입하고, 위기에 처한 지역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계획이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를 거쳐 서산시와 포항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이날부터 2027년 8월 27까지 2년간 해당 지역 기업들의 자금 마련을 지원할 방침이다. 서산은 석유화학, 포항은 철강 산업이 지역 경제를 지탱해왔으나 현재 중국의 저가 물량 공세와 글로벌 경기 침체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정부 차원에서 '산소호흡기'를 달아준 셈이다.

우선 긴급경영안정자금 제도를 통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10억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7000만원 한도의 대출을 저금리로 제공한다.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은 대기업 설비의 4~9% 수준으로 지급돼 왔으나, 최대 12%로 확장한다.

2차 추경으로 신설된 '지역산업위기대응' 사업을 통해 기업의 대출 부담을 낮추기 위한 이차보전,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지원도 제공될 예정이다. 맞춤형지원은 위기지역 내 기업들의 수요를 받아 인력양성 등 형태로 지원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연구개발, 경영자문, 고용안정 등 산업위기 극복을 위해 필요한 각종 지원사업에 대해서도 2026년 이후 예산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유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